•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 분석 : 사고 양식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4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수록지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16권 / 3호
저자명 : 이종희, 이아름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연구결과
V. 결 론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의 배양, 사회나 자연의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의 신장
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고 양식에 따라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특징
을 분석하고,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양식의 학생은 모델링 단계에서 상황에 대한 정신적 표상(MRS)과 실제모델 단계를
교대로 풍부하게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반면, 분석적 양식의 학생은 수학적 모델 단계를 많
이 활용하며 모델링 주기가 시각적 양식의 학생보다 복잡한 주기를 보여주었다. 둘째, 모델링 해결
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는 조건을 선별하거나 수학적 모델에서 도출된 수학적 결과의 타당성을 논증
할 때,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할 때 사용되었다. 유추적 사고는 이전에 풀었던 문제 상황을 모델링
과정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모델링 해결에서 필요한 수학교과
외적지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귀납적 사고를 하였다. 또한 구해야 하는 값이나 자신의
모델의 타당성을 논증할 때는 연역적 사고를 사용함이 확인되었다. 모델링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학
생들의 사고 양식에 관계없이 연역, 유추, 귀납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모두 사용되었다.

영어 초록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updated 2011 aims at the acquisition of basic
mathematical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considered communic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spect to society, natural situations, etc. Through
mathematical modelling, students can become aware of the basic structure of situations around
them, search through interesting topic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nd
reinforce rational thinking about the useful skills needed i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tudents' modelling processes and the roles of
mathematical thinking step by step.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visual-thinking-style student used both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and real
model steps. On the other hand, an analytic-thinking-style student frequently used a
mathematical model and demonstrated a more complicated way of solving a problem than a
visual student.
Second, critical thinking from the modelling process was used for filtering the conditions
from real modelling step and reasoning of mathematical result from mathematical model. The
students used inductive reasoning in the investigation and the extra-mathematical knowledge
that is needed in the model solving process. They also used deductive thinking when they
proved the validity of their models.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 분석 : 사고 양식을 중심으로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3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