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보호자의 태도가 불치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현*
최초 등록일
2018.12.20
최종 저작일
1985.12
18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가족은 자연적으로 기본적인 사회단위이며 가족의 건강문제는 상호관련적이어서 어떤 질병이나 장애는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파급된다. 감정적 불안은 그 구성원 내에서의 정서 질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환경으로서의 가족 구성원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건강에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는 데 관여한다.
또한 가족구성원이 서로 조화를 이룬 지식, 기술, 및 신념은 가족의 불구상태 같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병약한 구성원에게 도움이 되며 가족 내의 다른 구성원들로 하여금 정서적, 사회적 개발을 하도록 도와 건강문제에 대한 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이론적 배경

Ⅲ.대상 및 방법
1. 대상
2. 도구 및 방법
3. 자료 처리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Ⅳ. 연구성적

Ⅴ. 고찰

Ⅵ. 요약

참고문헌
영문초록

본문내용

인류문화와 사회는 시대의 바뀜에 따라 변천해 가고 있다. 간호학도 사회과학적인 견해와 사회요구의 변화에 따라 그 이해와 양상이 달라지게 됨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현대의 간호는 양적으로 성장하고 구조적으로 개선되어 질병중심의 기계적 간호에서 인간 중심의 전인간호로 옮겨지게 되었다. 이러한 간호개념의 변천은 임상간호영역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쳐 사회가 요구하는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간호를 시행하도록 변화시켰다.
전인간호의 개념은 환자에 대한 육체적, 사회적, 심리적, 감정적, 정서적, 영적 요구뿐만 아니라 환자와 그의 가족의 문제점까지도 발견하여 충족시켜 줄 것을 강조하게 되어 개인 중심의 개별적 간호로서 각각 다른 사회적 배경을 가진 인간의 요구를 이해하도록 도와주는 데 중점을 두게 되었다.
이러한 간호역할의 확장과 함께 최근에 와서는 간호에 대한 제이론이 발달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알려진 이론은 체제이론으로, 체제이론에서는 대상자인 환자는 가족 체제 내에서 환자로 선정되어 치료를 받는 사람이기 때문에 환자를 환자 또는 증상을 가진 한 개인으로서가 아니라 전체가족 체제의 하부체제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1937년 미국의 공중보건협회(National Organization for Public Health Nurning : NOPHN)에서 공중보건사업은 가족중심 보건사업을 받아들여 교육하고 있으며, 그 후 업무단위로서의 가족에 관한 개념은 더욱 중요시 되어 왔고, 지역사회 간호 사업에서도 가족을 기초단위로 하여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하였다.
가족은 자연적으로 기본적인 사회단위이며 가족의 건강문제는 상호관련적이어서 어떤 질병이나 장애는 부모에게서 자식에게로 파급된다. 감정적 불안은 그 구성원 내에서의 정서 질환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환경으로서의 가족 구성원에게 결정적 영향을 미치고 건강에 관련된 사항을 결정하는 데 관여한다.

참고 자료

이경식, 김화중 : 지역사회 간호학, 수문사, 서울(1981), p.91.
Narrow,B.W. : Rest is ……, Amer.J.Nurs., 8:1646-1649, 1967
Shusterman, L, R. : Death and dying, Nurs. outlook, 71:51-60, 1973
Ross, E.K. : On death and dying, N.Y.Macllian Co., N.Y.(1969)pp39-137
김윤희 : 가족의 개념과 정신간호학적 접근, 월간간호, 3:40-41, 1985.
오석환 : 정신병에 대한 가족들의 태도에 대한 고찰, 신경정신의학, 11:177-185, 1972.
강종선 : 정신과 질환의 병인에 대한 환자와 그 가족들의 태도, 중앙의학, 36:87-95, 1979.
Lambert,W.W., Lambert.E.' Social psychology, foundation of modern psychology series 2nd., ed, Englewood Cliffs,N.J, pretice-Hall Inc. (1964) p.270
Walsh, J.E. : Instruction in psychiatric nursing, level of anxiety and direcion of attitude change toward the mentally ill, Nurs., Rese., : 523-527, 1971.
김정환 : 학교의 물리적 환경변인이 아동의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1981.pp.16-17
영남심리학회 : 교양심리, 중앙적성연구소, 서울 (1973), p.71
김경린, 김영환 : 일반심리학원론, 중앙적성출판부, 서울(1984), p.321.
Hurlock,E.B. : Child development, 4th ed.,Mcgraw-Hill Co., N.Y.(1947)pp669-673
이희도 : 모친의 양육태도가 성취동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p.8, 1968.
김봉식 :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태도와 자녀의 장래전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석사학위논문, p.27, 1979.
서봉연 : 성격과 적응, 현대심리학 전서 4권, 익문사(1973) p.16
김성태 : 발달심리학, 법문사, 서울(1979), p.162
Shuffer,H.F. : The psychology of adjustment, Houghton-Miffin Co.,Boston(1956) pp.270-271
배기명 : 고등학생의 가정환경에 따른 적응문제 및 적응기제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16, 1983.
Hinshaw,R.P. : The concept of adjustment and problem of Norms Psychology review, Vol.49, pp162-167, 1962.
문영순 : 교육심리학, 정음사, 서울(1979) p.126.
진원중 : 교육학 개론, 법문사, 서울(1975) p.78.
Jerield,A.T.: In serch of self, Tccupress,N.Y. (1952) p.13.
Baldwin,A,L.: Socialization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 development, Vo1.19.N.Y (1949)pp127-136
유영주 : 가족관계학, 서울대출판부, 서울(1983)p.15.
김강미자 : 입원환자 가족이 요구하는 건강정보에 관한 실태조사연구,예수간호전문대학 논문집, 1:9-12, 1984.
전산초 : 간호의 대상을 알자, 대한간호, 4:11:, 1978.
Murry,R.,Lenter,J. : Nursing concepts for death, Barentice-Hall Co., Promition Englewood(1975)p.128.
Leavitt,M.:Discharge crisis,Nurs.Rese,.1:33-40,1975.
조영숙 : 정신질환자 가족들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연구, 간호학회지, 11:7-15,1980.
소희영:입원환자 가족의 불안에 관한 연구, 충남의대잡지, 1:167 1983.
조완숙, 문홍세 ; 정신과 환자들이 정신과에 대한 애증 및 방황, 신경정신의학, 11:77-84, 1972.
김광일: 한국의 전통적 질병 개념, 최신의학 15:49-51,1972.
.Price,A.L.: The art, science of sprit of nurning, 3rd Ed.,W.B.Saunders Co.,philadelphia(1965)pp.350-370
이장규 : 암환자와 더불어, 월간간호, 7:87,1983.
한정석 :백혈병 환아간호, 대한간호,9:47, 1979.
이자형 : 종말에 처한 환아의 간호, 간호학회지,6:50-51, 1979
김달숙, 이혜경 : 소생 불가능한 환자에 대한 간호행위를 찾기 위한 탐색적 연구, 충남의대잡지, 11:285, 1984
Wortman, C. B. , Christine,D.S.:interpersonal relationalship and cancer, a theoretical analysis, J.of social, issues, 35:120-155,1979.
김호권 : 표준적응검사,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심리 연구실, 서울(1962) pp1-9.
Mendez, E,K et al :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life change events, Nurs. Rese.,29:385-387,1980
Middleton,J.:Prejudices and opitions of mental hospital employees regarding mental illness, Ment.Hygi.,110:133-138,1953.
Banard,K.E et al.:Teaching the mentally retarded child a family care approch, The C.R.Mosby Co. , saintlouise(1972)pp21-25
William,A.K.:Impact of cerebral palsy on patient and family,Can.Nurs.,63:29-31, 1967
명애:학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간호학회지,7:84,1977
Jalowice,powers,M J.:Stress and coping in hypertensive & emergency room patients,Nure.Rese, 1:10-15,1981
Purisman,R.,Maoz,B.:Adjustment and war breavement,some consideration,Brit.J.Med.Psyc.,50:1-9,1977.
Pearlin,L.I.,Schooler,C.:The structure of coping,J.hlth.soc.beha.,19:2-21.1978
Myers,J.K.,Lindenthal,J,J.,Depper,M.P.:Life events,social intergration and psychiatric Symptomatology.J.Hlth,Soci.Beha.,16:421-429,1975.
박응헌,이상준,김응걸:학교와지역사회,서울과학출판사,서울(1979)p.74
상임,이춘원:내 외과 입원환자의 불안도 평가, 중앙의학 36:2, 1979
Lucent,F.E.,Fleck,S.:A study of hospitalization anxiety in 408 medical-surgical patients ,Psycosomatic Med.,134:4,1975
Lagina,S.M.:A computer program to diagnose anxiety levels, Nurs.Rese.,20:6,1971
Selye,H.:The stress syndrome,Amer.J.nurs.,62:5,1962.
Compbell,M.E.,Study of the attitude of nursing personnel toward the geriatric patient,Nurs.Rese.,22:147-151,1971.
Shaw,M.E.,Phillip,R.C.:The theories of social psychology, 2nd ed .,MCgraw-Hill Co.,N.Y.(1982)pp112-115.
*현*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보호자의 태도가  불치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