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재독 교포 2세 청소년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주)코리아스칼라
최초 등록일
2023.06.05
최종 저작일
2021.11
3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8,3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융합인문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융합인문학 / 9권 / 4호
저자명 : 김광선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정체성 연구를 위한 이론적 논의
1. 조지 허버트 미드(G. H. Mead)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2. 로버트 에즈라 파크(R. E. Park) : 이주 그리고 경계인
3. 연구방법으로서의 근거이론
Ⅲ. 재독 한인에 대한 개관
1. 한-독 관계
2. 재독 한인의 역사
3. 교포 신문 특별판
Ⅳ. 분석방법 및 결과
1. 연구자료 및 분석 절차
2. 자료분석 및 절차
3. 분석 내용
4. 인터뷰 개요 및 개방 코딩
5. 개방코딩에서 축 코딩
6. 축 코딩에서 선택적 코딩
Ⅴ.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1970년대 초반 독일 사회로 이주한 많은 한국인들은 체류기간을 엄격히 지켜야 하는 손님노동자 (Gastarbeiter)였다. 그들의 자녀들은 독일사회에서 이중문화를 지닌 소수집단으로서 교포 2세로 자랐다. 그들은 집에서는 한국 문화, 집 밖에서는 독일 문화와 마주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이들이 정체성 혼돈을 겪어왔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재독 교포 2세 청소년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에 기반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분석의 깊이를 더하기 위하여 미드 (G. 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와 파크(R. E. Park)의 주변인 이론을 분석에 접목하였다. 특히, 신문 자료를 활용한 2차 분석 을 주로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재독 2세들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었고, 한국계 네트워크 구축 및 한국문화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세대 부모들의 한국문화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재독 2세들의 네트워킹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 초록

Many of the Koreans who migrated to Germany in the early 1970s were guest workers who were to stay there only for a strictly fixed contract period. Their children, second generation Korean German adolescents belonging to a bicultural minority group in German society, have suffered a lot from identity confusion in situations facing Korean culture both at home and outside home, in the German society. Accordingly, in order to conduct research on identity formation, Mead's symbolic interactionism and Park's theory of the marginal man were combined to conduct a secondary analysis using newspaper data. Codes were appli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for the interview content of the second generation Koreans, published in the special edition of Kyopo Shinmun (Korean-German newspaper).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cond generation adolescents were proud of their identity and the Korean roots, built their own networks, actively participated in education, and tried to maintain the culture of the first generation, their par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ir sense of belonging and beliefs through the attention and support measures of overseas organizations in forming a network of second-generation Korean German. In particular, follow-up studies with a large group are also needed to show how the second-generation adolescents form their identi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코리아스칼라는 정직과 신뢰를 기반으로 학술단체 발전에 도움을 드리고자 하는 기업입니다. 본 사는 본 사가 자체 개발한 솔루션을 통하여 보다 효율적인 업무 관리 뿐만 아니라, 학술지의 데이터베이스화, ARCHIVE를 돕습니다. 본 사의 One Stop Service를 통해 국제적인 학술단체로 함께 도약 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재독 교포 2세 청소년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3 오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