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A+지역사회 케이스] 시각장애를 가진 임신 16주차 산모, 시각장애 산모 케이스, 케이스 스터디, 가계도, 가족 밀착도, 외부체계도, 사회 지지도, Family APGAR, 자가관리능력 측정도,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 가족연대기, 가족과정 기능장애

간호과학생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0.09.24
최종 저작일
2020.05
19페이지/한글파일 한컴오피스
가격 2,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지역사회 케이스이고 케이스 주제는 시각장애를 가진 임신 16주차 산모입니다.
서론에 선정이유를 작성할 때 각종 자료들(통계, 논문 등)을 참고하여 누가 봐도 왜 이 주제를 선정하였는지 왜 필요한 지 잘 작성해 두었습니다. + 수행계획 6개에 모두 이론적 근거가 잘 작성되어 있고 기대효과 또한 작성되어 있습니다.

가계도, 가족 밀착도, 외부체계도, 사회 지지도, Family APGAR, 자가관리능력 측정도,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 가족연대기, 간호진단 우선순위를 사정하여 케이스 작성하였기 때문에 간호과정 작성에 있어 꼼꼼하다고 자부할 수 있습니다.

간호진단 2개 간호과정 1개 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선정이유 ········································································· 3

Ⅱ. 본론
1. 문헌고찰
1-1. 모자보건사업 ···························································· 5
1-2.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파견사업 ································ 8
1-3. 여성장애인 교육지원 ·················································· 9
2. Case story ····································································· 10
3. 간호사정 ········································································· 10
4. 간호과정 ········································································· 15

Ⅲ. 결론 ················································································ 18

Ⅳ. 참고문헌 ········································································ 19

본문내용

1. 선정이유

여성이 임신을 하고 출산을 하여 양육을 하는 데 있어서 얼마나 힘든지 경험해보지는 못하였지만 주변의 이야기를 통해, 강의를 통해 알 수 있었기 때문에 신체적 결함이 없더라도 나는 못할 것이라는 생각을 했고 장애여성의 경우에는 임신, 출산, 양육이 비 장애여성보다 힘들어 그 수치가 낮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이루어진 장애인 실태조사(2017)에서 조사 결과 만 18세 이상 장애 여성의 결혼률이 42.5%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임신 경험 또한 지적장애(77.9%), 청각장애(68.8%), 시각장애(68.5%)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임신은 개인의 권리이며 주변의 도움이 있으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생각이 86.8%로 절대 다수를 차지하며 본인의 권리를 드러냈지만 이들은 임신 기간 중 자녀가 장애를 가질까 두려워서, 출산과정이 두려워서, 자녀양육을 잘 할 수 있을지 두려워서 등 여러 모종의 이유로 임신 기간 중의 애로사항을 들어냈고 유산 경험 또한 20.1%인 비 장애여성의 유산율에 반해 시각장애(59.1%), 청각장애(41.2%), 지적장애(25.6%)로 높은 유산율을 보였다.

<중 략>

# 복합요인과 관련된 가족과정 기능장애
[주관적 자료]
- “시어머니는 제가 시각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무엇을 하던지 싫어하세요.”
- “남편이 저에 대한 사랑이 식어버린 것 같아요.”
- “이제 절 도와줄 사람은 한 명도 없어요.”
- “제가 앞으로 혼자 할 수 있는 게 있을까요?”
- “남편과 시어머니는 제 말을 들어주지 않아요.”
- “스트레스가 너무 심한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Family APGAR 점수0점
- 가족 밀착도 및 사회지지도
사회 지지도
가족 밀착도
- 상담 시 본인의 미래에 대해 부정적으로 표현함
- 가족 간의 상호작용이 낮은 것으로 관찰됨
- 대상자 가족의 소득이 중위소득에서 중위소득 60%로 떨어짐
- 사회 재적응 평가 총점이 221점으로 보통의 위기상황이며 질병 발병률은 51%임

일반적 목표
대상자 가족은 1년 이내에 APGAR 점수가 4점 이상으로 상승된다.

참고 자료

지역사회보건간호학 편찬위원회. 최신지역사회보건간호학2. 수문사. 2019. 775-784, 790-823
원종순.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이경희. 정신건강간호학(2판). 정문각. 2020
모자보건사업 [母子保健事嶪].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대구장애인종합복지관.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사업, 여성장애인 가사도우미 파견 사업.
http://dgrc.miress.gethompy.com/dgrc/bbs/page.php?hid=sub01_01e
이태희, 오현숙, 이명원, 조당호 (2011). 케어복지개론. 공동체
보건복지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2013). 산모 · 신생아 도우미 표준 교육안
여성가족부, 남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장애여성 유형별 임신 · 출산 · 육아 매뉴얼 개발, -- 시각 · 청각 · 지적장애를 중심으로-
김성희. 여성 장애인의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8
달서구청. 2018통계연보, 보건 및 사회보장.
https://dalseo.daegu.kr/index.do?menu_id=00001345
정부24. 여성장애인 교육 지원.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GMW000000120
최순희 외. 간호과정의 실제, 간호진단-결과-중재 연계적용. 현문사. 2019
간호과학생
판매자 유형Platinum개인인증
소개
회원 소개글이 없습니다.
전문분야
의/약학
판매자 정보
학교정보
비공개
직장정보
비공개
자격증
  • 비공개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A+지역사회 케이스] 시각장애를 가진 임신 16주차 산모, 시각장애 산모 케이스, 케이스 스터디, 가계도, 가족 밀착도, 외부체계도, 사회 지지도, Family APGAR, 자가관리능력 측정도, 사회 재적응 평가 척도, 가족연대기, 가족과정 기능장애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AI 챗봇
2024년 06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후
New

24시간 응대가능한
AI 챗봇이 런칭되었습니다. 닫기